월별 글 목록: 2011년 6월월

아이폰5 떡밥 정리

기자가 앱등이 + 병신레벨이라 그냥 내가 직접 정리한다.

더보기

100%
A5 듀얼코어 프로세서 탑재 : 아이패드2에서 이미 사용중
화이트 모델
CDMA 모델 : 아이폰4 버라이즌용 나왔음.
참고로 CDMA는 2000년대 초반에 주로 사용되었고, 현재의 WCDMA나 4세대 통신망(LTE, WiMax=WiBro)보다 뒤쳐진 기술임.

80%
카메라 개선 : 800만화소 내지는 그 이상의 카메라 채택
화면크기 키움 : 4~5인치 사이가 될지도.
9월 출시설
NFC 기능 탑재

60%
램 증가 : 1GB 선으로 늘림
디자인 유지 : 아이폰4와 유사한 디자인. 새 디자인 설에 반대되는 입장.
아이튠즈 클라우드 지원
HDMI 출력 지원
향상된 음성 제어 기술

50%
64GB 모델
4G/LTE 지원
내부 저장공간 삭제 : 완전 클라우드 기반으로 변경

40%
새 디자인 : 아이패드2 디자인 영향 받을듯. 디자인 유지설에 반대되는 입장.

30%
FullHD 동영상 촬영 : 1080p FullHD 동영상 가능할 듯.
저가형 모델 출시

20%
홈버튼 제거
배터리 연장
R-UIM 지원 : CDMA 모델에서 USIM 비슷한 기능 지원
올 여름 출시 : 6~7월 안에 출시된다

10%
3차원 디스플레이 지원

0%
물리 키보드 : 이건 끊이지 않는 떡밥
듀얼 SIM 지원

접기

티스토리에 Syntax Highlighter 설치하기.

Syntax Highlighter이 뭐냐면… 그냥 소스코드 예쁘게 뿌려주는거다. 이 글에서도 자주 쓰이니 알아서 판단하시고.

일단 티스토리는 Syntax Highlighter를 제공하지 않는다. 플러그인을 마음대로 설치할 수도 없으니 물건너간 줄 알았으나…
찾아보니까 된다 카더라 ‘ㅅ’ 그러니까 스킨 뜯어고치면 된다.

소스 홈페이지 : http://alexgorbatchev.com/SyntaxHighlighter/ (오픈소스로 공개중이다. 감사하도록.)

1. 설치방법

설정 – 스킨 – HTML/CSS 편집 들어간 후, </body>와 </html> 사이에 다음 내용을 추가해 준다.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http://alexgorbatchev.com/pub/sh/current/styles/shCore.css' />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http://alexgorbatchev.com/pub/sh/current/styles/shThemeDefault.css' />
<script src='http://alexgorbatchev.com/pub/sh/current/scripts/shCore.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http://alexgorbatchev.com/pub/sh/current/scripts/shBrushXml.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http://alexgorbatchev.com/pub/sh/current/scripts/shBrushCpp.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src='http://alexgorbatchev.com/pub/sh/current/scripts/shBrushPhp.js' type='text/javascript'></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yntaxHighlighter.all();
</script>

설치끝. 진짜로. 이게 전부다.

2. 사용방법

우선 편집기에서 소스를 쭉 작성한다. < 를 &lt; 로 작성해야 하는데, 이건 티스토리 편집기에서 자동으로 치환해 준다.
그리고 HTML 모드에서 위아래를 <pre> – </pre> 태그로 묶어주는데, 코드 종류에 따라 태그 클래스를 미묘하게 바꿔줘야 한다.

CPP 코드 : <pre class="brush: cpp"> - </pre>
HTML : <pre class="brush: html"> - </pre>
PHP : <pre class="brush: php"> - </pre>

이런 식.

정확하게는 위에서 추가해 준 브러시 타입만 사용할 수 있다. 저 위 소스 잘 보면 shBrush___.js 를 삽입하는걸 볼 수 있는데 이 부분.
다른쪽(Ruby라거나…) 쓰는 블로그라면 알아서 홈페이지 뒤져서 바꿔주면 되겠다.
(설마 코드 다루는 블로그 주인장이 저 정도 응용력도 없진 않겠지…)

파이어폭스 사용시, 코드 뒤에 <br /> 붙는건 지워줘야 한다. 아니면 아래처럼 소스에 한 줄 추가해주면 알아서 삭제하고 파싱해 준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SyntaxHighlighter.config.stripBrs = true;
SyntaxHighlighter.all();
</script>

3. 그리고

코드 유지보수하는게 Alex Gorbatchev란 사람인데, 월 트래픽이 80GB가 넘게 발생하고 덕분에 월 40달러씩 돈내고 있다고 무지하게 투덜거리고 있다.
PayPal 쓰는 사람이라면 맥주 한 잔쯤 사 주는게 어떠한가.

모듈형 요금제 가상안

뭐 대충 이런 식. 모듈형 요금제 설명을 위한 것이므로 금액에 대한 태클은 금지함.

모듈형 요금제란?
현재 하나로 묶여서 판매되는 음성-문자-데이터 제공량까지 사용자가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는 요금제를 의미한다.
현행 통합요금제는 통신사에서 인위적으로 조합하여 판매하는 형태이므로, 사용자의 휴대폰 사용 성향이 한 방향으로 쏠리는 경우에는 낭비가 발생하기 쉬운 반면, 모듈형 요금제에서는 사용자가 무료제공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낭비 없이 저렴한 요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통신사 입장에서, 사용자의 이용 패턴 분석이 용이해지므로(요금제 = 사용량) 망투자 등이 용이해지는 부차적인 장점이 있으나, 나같이 월 200분 무료통화중 20분도 못 쓰는 호갱님 숫자가 감소하니까 도입을 꺼려 하는 방식임.

1. 기본요금

– 선불기본(면제~3천원) : 음성 선불만 가입가능, 데이터플랜 가입에 일정부분 제약
– 후불기본(5천원~7천원) : 음성 후불만 가입가능

기본요금이 “회선=번호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요금” 개념이 되는 것. 현행 기본요금은 음성통화 사용을 전제하는 요금제이기 때문이다.
선불요금제 도입은 단지 희망사항. 2% 시장을 끌어앉으려면 선불요금제도 통합해야 한다고 본다.

2. 통화 플랜(음성통화)

– 미가입 : 무료통화 없음. 통화요금 매우 비싸게 과금(10초당 62원 수준 – SKT PDA슬림요금제 기준)
– 음성통화기본(~2500원) : 무료통화 없음. 통화요금 현행 수준(10초당 18원 수준)
– 음성통화무료nn : 무료통화 nn분 제공. 금액은 1분 100원~80원 수준, 초과분 할인(10초당 ~15원 수준)
– 음성통화선불(0원) : 무료통화 없음. 통화요금 현행보다 약간 비싼정도(10초당 22원 수준), 선불기본요금제만 가입가능

음성통화까지도 부가서비스로 만들어버리는 극단적인 발상이지만, 모듈형 요금제의 기본은 여기에 있다.

음성통화량이 월 10분 미만으로 극단적으로 적은 회선은 통화 플랜을 가입할 필요가 없다.
최소 사용량 10분 이상 발생하는 경우는 플랜을 가입하면 되고, 대량 사용자일수록 통화료가 감면되는 구조.

3. 메시지 플랜(SMS/LMS/MMS)

– 미가입 : 무료메시지 없음. 현행대로 과금(건당 20~30원)
– 메시지기본(~1천원) : 50건(건당 20원) 정도 무료제공. 이후는 건당 10원 선으로 과금
– 메시지무료nn : 대량 약정으로 건당 5~10원 수준으로 과금. (1천건에 5천원 정도)

문자메시지는 폭리 수준을 떠나 대동강 물 떠다 파는 수준이라는건 익히 알려진 사실.
통신사들은 왜 굳이 사용자들이 주소록 동기화까지 해 가면서 카카오톡을 찾아 쓰는지 깨달아야 한다.

4. 데이터 플랜(3G 데이터)

– 미가입(0원) : 데이터 접속 원천차단
– 데이터기본
– 데이터nn : 현행 데이터플랜 채용(100MB 5천원, 500MB 1만원, 1GB 1.5만원 2GB 2만원 4GB 3.5만원)

데이터무제한 요금제는 폐지를 전제로 함.

이런식으로 각각 요금제를 분할한 다음 이를 사용자가 마음대로 조합하게 하여 요금제를 구성하게 하는게 진정한 모듈형 요금제이다.
KT에서 내놓은 맞춤조절 요금제는 그냥 기본요금 주고 알아서 조정해 쓰라는 것인데, 데이터 할인폭이 너무 적어서 의미가 없는 요금제.

그리고 조사하다 발견한 사실. KT 기준으로 음성요금제는 1분에 100원, 문자요금제는 600건에 8천원(=건당 13.3원), 데이터 500MB는 1만원에 제공된다.
i-라이트 요금제를 분해해 보면

– 음성200분 20,000원
– 문자300건 4,000원
– 데이터500MB 10,000원
– 합계 3.4만원, 기본요금 차액 11,000원

수준. 즉, 쌩으로 가입하면 기본요금(신표준 13000원)과 비교해서 혜택은 “고작” 2천원밖에 안 주어진다. SKT도 크게 차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통신사들은 고객을 호구로 보는 셈.